Skip to content

All4Jesus

조회 수 54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교수님, 지난 주에 제가 무례했읍니다. 용서해 주세요.” 수업을 시작하려던 내게 조심스럽게 다가선 학생의 입술에서 나온 말 한마디가 오늘 나를 살 맛나게 만들었다. 이 학생이 얼마 전 내게 와서 언성을 높였을 때도 나는 담담하게 받아들였다. 마음 한 구석에서는 “참 무례한 친구일세” 하는 생각이 머리를 들기도 했지만 내 관심사는 이 학생이 사과를 하지 않으면 얼마나 마음이 불편할가 하는 생각이었다. 인간관계의 법칙 중의 하나는 먼저 화를 낸 사람에게 모든 손실이 귀착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성경은 이렇게 말한다. “노하기를 더디하는 자는 크게 명철하여도 마음이 조급한 자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느니라” (잠 14장 29절). 내 경험에 의하면 노하는 이유의 대부분이 오해에서 비롯된다. 조금만 참고 기다리면 오해가 풀릴텐데 일단 화를 퍼붓고 나면 양쪽 모두 숯불을 뒤집어 쓴 것 같아서 관계를 회복시키기가 어렵다. 그러나 이에도 명약이 있다. 바로 “용서해 달라”는 말 한마디이다. 진정한 용사는 바로 이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내가 미국에 와서 배운 것 중 가장 소중한 세 마디 영어를 말하라면 나는 단번에 대답할 수 있다. 첫째는, “용서해 주세요” (I am sorry) 이고, 둘째는 “감사합니다” (Thank you) 이고, 셋째는 “도와 드릴 일 없으세요” (May I help you)이다. 세 마디 말 모두 인간관계를 세워주고 사회를 기름지게 만드는 금언들이다. 특히 “용서해 주세요”라는 사과의 말 한 마디는 순간적인 실수로 험악해졌던 인간관계를 회복시키는 특효약이다. 우리 속담에도 있지 아니한가. “말 한 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 그런데 우리 한국의 체면문화는 우리로 하여금 이 좋은 특효약을 사용 못하게 억눌러서 환부가 썩어문드러지록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친밀한 관계일 수록 더욱 심하다. “남자가 좀 화를 냈기로소니 어떻게 여자에게 사과해. 난 죽어도 못해. 자기는 항상 옳기만 했나?” 성인이 될 때까지 한국문화 특히 경상도문화에 젖어 살았던 나도 예외는 아니었다.

딸아이가 12살 때의 일이다. 학교에 다녀온 아이에게 내가 말로 실수를 했던 모양이다. 이 녀석이 내게 바짝 다가와서 한다는 말이 나를 황당하게 만들었다. “아빠, 나한테 아까 무례한 말했지. 당장 내게 용서해달라고 해.” 아이가 2살때 미국에 왔으니 미국문화에 젖을 수 밖에 없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이건 너무한다는 생각이 머리를 때렸다. “어이거, 이걸 그냥 한 대 꿀밤을 줘” 하는 생각이 들면서도 내가 실수했던 것은 사실이라는 생각이 나를 지배했다. 그래 “까짓거 말 한마디 한다고 손해 볼 것도 아니잖나”는 생각에 눈 질끈 감고 아이에게 말했다. “내가 잘못했다. 용서해 다오.” 이 한 마디가 아이를 얼마나 행복하게 만들었는지 아시는가? 이 녀석 어찌나 기뻐하며 아빠를 따르기 시작하는지 딸 가진 재미가 절로 나게 만드는 것이다. 사실 이 때부터 아이는 나를 용기있는 아버지로 존경하기 시작했다. 자녀들에게 실수한 것이 있는 부모들에게 권하는 명약이다. 한번 사용하여 보시라. 여러분의 가정이 화목하게 꽃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 나의 이야기 (25) 꿩 이야기- 1974년 군대 이야기 file JintaeKim 2021.04.09 150
37 나의 이야기 (50) 담맘 출장 이야기 -1986 JintaeKim 2022.10.03 132
36 나의 이야기 (20) 아부지와 예천에 다녀오다- 1966년 김천 고등학교 1학년 file JintaeKim 2021.05.27 128
35 나의 이야기 (17) 카스테라냐, 조개냐 그것이 문제로다 - 1962년 사건 file JintaeKim 2021.05.21 119
34 나의 이야기 (6) 뒤출이 형제 이름의 유래 -소꾸모티 1955-60년 JintaeKim 2021.05.06 115
33 나의 이야기 (18) 어느 그믐날 사건- 1963년 김천중학교 1학년 file JintaeKim 2021.05.28 107
32 나의 이야기 (23) 엄마와의 6달 - 1971년 대학2학년때 이야기 file JintaeKim 2021.05.26 99
31 포트리 한담 (117) 마음의 근심은 JintaeKim 2021.02.10 97
30 나의 이야기 (139) 포기하지 말라 JintaeKim 2023.07.24 97
29 나의 이야기 (49) 개똥수박과 개똥참외 JintaeKim 2022.10.03 96
28 나의 이야기 (136) 오랑캐꽃 file JintaeKim 2023.06.16 96
27 나의 이야기 (137) 자라 이야기 file JintaeKim 2023.06.24 95
26 나의 이야기 (138) 넘어질 까 조심하라 JintaeKim 2023.07.04 94
25 나의 이야기 (8) 뒤출이 아부지 이야기 – 소꾸모티 1957년 file JintaeKim 2021.05.08 92
24 나의 이야기 (16) 첫 사랑 선생님 - 1961년 모암국민학교 5학년 때 사건 JintaeKim 2021.05.17 89
23 나의 이야기 (9) 검정고무신 이야기- 소꾸모티 1957-60년 JintaeKim 2021.04.20 88
22 나의 이야기 (14) 어머니 이야기 JintaeKim 2021.05.24 87
21 나의 이야기 (3) 첫 외출과 망고수박 – 소꾸모티 1955년 file JintaeKim 2021.05.24 86
20 나의 이야기 (2) 전도사 이야기 -소꾸모티 1952-60년 JintaeKim 2021.05.05 86
19 나의 이야기 (21) 엄마와 예천에 다녀오다- 1966년 김천 고등학교 1학년 file JintaeKim 2021.05.27 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c) 2013 All4Jesus.net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