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All4Jesus

조회 수 54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교수님, 지난 주에 제가 무례했읍니다. 용서해 주세요.” 수업을 시작하려던 내게 조심스럽게 다가선 학생의 입술에서 나온 말 한마디가 오늘 나를 살 맛나게 만들었다. 이 학생이 얼마 전 내게 와서 언성을 높였을 때도 나는 담담하게 받아들였다. 마음 한 구석에서는 “참 무례한 친구일세” 하는 생각이 머리를 들기도 했지만 내 관심사는 이 학생이 사과를 하지 않으면 얼마나 마음이 불편할가 하는 생각이었다. 인간관계의 법칙 중의 하나는 먼저 화를 낸 사람에게 모든 손실이 귀착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성경은 이렇게 말한다. “노하기를 더디하는 자는 크게 명철하여도 마음이 조급한 자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느니라” (잠 14장 29절). 내 경험에 의하면 노하는 이유의 대부분이 오해에서 비롯된다. 조금만 참고 기다리면 오해가 풀릴텐데 일단 화를 퍼붓고 나면 양쪽 모두 숯불을 뒤집어 쓴 것 같아서 관계를 회복시키기가 어렵다. 그러나 이에도 명약이 있다. 바로 “용서해 달라”는 말 한마디이다. 진정한 용사는 바로 이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내가 미국에 와서 배운 것 중 가장 소중한 세 마디 영어를 말하라면 나는 단번에 대답할 수 있다. 첫째는, “용서해 주세요” (I am sorry) 이고, 둘째는 “감사합니다” (Thank you) 이고, 셋째는 “도와 드릴 일 없으세요” (May I help you)이다. 세 마디 말 모두 인간관계를 세워주고 사회를 기름지게 만드는 금언들이다. 특히 “용서해 주세요”라는 사과의 말 한 마디는 순간적인 실수로 험악해졌던 인간관계를 회복시키는 특효약이다. 우리 속담에도 있지 아니한가. “말 한 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 그런데 우리 한국의 체면문화는 우리로 하여금 이 좋은 특효약을 사용 못하게 억눌러서 환부가 썩어문드러지록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친밀한 관계일 수록 더욱 심하다. “남자가 좀 화를 냈기로소니 어떻게 여자에게 사과해. 난 죽어도 못해. 자기는 항상 옳기만 했나?” 성인이 될 때까지 한국문화 특히 경상도문화에 젖어 살았던 나도 예외는 아니었다.

딸아이가 12살 때의 일이다. 학교에 다녀온 아이에게 내가 말로 실수를 했던 모양이다. 이 녀석이 내게 바짝 다가와서 한다는 말이 나를 황당하게 만들었다. “아빠, 나한테 아까 무례한 말했지. 당장 내게 용서해달라고 해.” 아이가 2살때 미국에 왔으니 미국문화에 젖을 수 밖에 없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이건 너무한다는 생각이 머리를 때렸다. “어이거, 이걸 그냥 한 대 꿀밤을 줘” 하는 생각이 들면서도 내가 실수했던 것은 사실이라는 생각이 나를 지배했다. 그래 “까짓거 말 한마디 한다고 손해 볼 것도 아니잖나”는 생각에 눈 질끈 감고 아이에게 말했다. “내가 잘못했다. 용서해 다오.” 이 한 마디가 아이를 얼마나 행복하게 만들었는지 아시는가? 이 녀석 어찌나 기뻐하며 아빠를 따르기 시작하는지 딸 가진 재미가 절로 나게 만드는 것이다. 사실 이 때부터 아이는 나를 용기있는 아버지로 존경하기 시작했다. 자녀들에게 실수한 것이 있는 부모들에게 권하는 명약이다. 한번 사용하여 보시라. 여러분의 가정이 화목하게 꽃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 나의 이야기 (29) 불가능에 도전하라 – 1982년 삼성 NY 3 file 김진태 2005.01.25 5447
37 포트리 한담 (13) 카슨을 보내며 김진태 2005.01.24 5133
36 포트리 한담 (12) 과불급 4 김진태 2005.01.10 5456
35 나의 이야기 (42) 한 시간의 삶 -2004 년 ATS 교수시절 이사야를 잃고 김진태 2004.09.27 4788
34 나의 이야기 (41) 냉장고를 정리하며 -2004 ATS 교수시절 김진태 2004.09.11 5590
33 포트리 한담 (9): 지혜로운 자 6 김진태 2004.04.12 5747
32 포트리 한담 (8) 노심초사 7 김진태 2004.01.15 5769
31 포트리 한담 (7) 땡감과 홍시 김진태 2003.11.25 5763
30 포트리 한담 (6) 레미제라불 59 김진태 2003.10.23 7164
29 포트리 한담 (5) 오셀로 콤플렉스 36 김진태 2003.09.25 5762
28 포트리 한담 (4) 이아고 신드롬 32 김진태 2003.09.23 5827
27 포트리 한담 (3) 주제파악 31 김진태 2003.09.20 5581
26 나의 이야기 (43) 하나님의 뜻? - 2003년 ATS 교수시절 file 김진태 2003.09.19 5708
25 포트리 한담 (2) 최저속도 김진태 2003.09.16 4688
24 나의 이야기 (32) 정지 (STOP) – 1996년 사건 20 김진태 2003.09.04 5703
23 나의 이야기 (28) 외길 – 1981년 주재원 시절 이야기를 배경으로 1 file 김진태 2003.07.25 4762
22 나의 이야기 (39) 꿈 이야기 (1) - 2003년 박사학위를 마친 후 26 file 김진태 2003.06.09 5829
21 나의 이야기 (40) 꽃을 받는 마음 - 2003년 5월 29일 박사학위식 file 김진태 2003.06.05 5418
20 나의 이야기 (38) 요시야를 보내고 - 2003년 ATS 교수시절 1 김진태 2003.06.04 5328
19 나의 이야기 (37) 하나님 좀 쉽게 하십시다 - 2003년 Nyack College 교수시절 4 김진태 2003.05.02 57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c) 2013 All4Jesus.net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